본문 바로가기

정보올림피아드&알고리즘

소수와 합성수

소수와 합성수

문제

소수(prime number)란 1보다 큰 자연수 중 1과 자기 자신 두 개만을 약수로 갖는 수를 말한다.

합성수(composite number)란 1보다 큰 자연수 중 소수가 아닌 수를 말하며 3개 이상의 약수를 갖는다.

1은 소수도 합성수도 아니다.

5개의 자연수를 입력받아 소수인지 합성수인지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​ 

 

입력형식

10억 이하의 자연수 5개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.

 

 

출력형식

입력된 순서대로 한 줄에 한 개씩 소수이면 "prime number",

합성수이면 "composite number", 

소수도 합성수도 아니면 "number one"이라고 출력한다.

 

입력 예

3 10 1 55 127

 

출력 예

prime number
composite number
number one
composite number
prime number

 

 

 

소수(prime number)란? 문제에서 주어진 바와 같이 약수가 1과 자기 자신 두 개만을 갖는 자연수를 소수라 한다.

20이하의 소수는 8개(2, 3, 5, 7, 11, 13, 17, 19)이다.

 

합성수(composite number)란? 

1과 자기 자신 이외에 다른 약수를 갖는 수, 즉 약수가 3개 이상인 자연수를 말한다. 

20이하의 합성수는 11개(4, 6, 8, 9, 10, 12, 14, 15, 16, 18, 20)이다. 1은 소수도 합성수도 아니다. 

 

[코드1]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bool isPrimeNaive(int n)
{
    if(n < 2return false;
    /// 1이하의 수는 소수가 아니다.(예외처리)
    for (int i=2; i < n; i++)   /// 2부터 자신보다 작은 모든수로 나누어 본다.
    {
        if (n % i == 0return false/// 1과 자신 이외의 약수가 있으므로 소수가 아니다.
    }
    return true/// 1과 자신 이외의 약수가 없으므로 소수이다.
}
 
 

 

 

[코드2 ]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bool isPrime(int n)
{
    if(n < 2return false;
 
    for (int i=2; i <= n / i ; i++)
    {
        /// i*i <= n은 i*i에서 overflow 발생가능
        if (n % i == 0return 0;
    }
    return 1;
}
 
int main()
{
    ...
    
    if (n < 2printf("number one\n");
    else if (isPrime(n)) printf("prime number\n");
    else printf("composite number\n");
 
    ...
}
 
 

 

 

[코드1 분석] 

isPrime(int n)함수는 n이 소수이면 true를 아니면 false를 리턴한다. 

2부터 n-1까지 수 중에서 약수가 발견되면 즉시 false를 리턴한다. 

2부터 n-1까지 수 중에서 약수가 발견되지 않으면 tue를 리턴한다. 

isPrime 함수는 다음과 같이 int형으로 선언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int prime(int n)
{
    if( n < 2return 0;
    for (int i=2; i < n; i++)
    {
        if (n % i == 0return 0;
    }
    return 1;
}

 

 

 

[코드1의 고찰] 

위와 같이 처리하면 결과값은 나올 수 있지만 

반복문을 2부터 입력받은 수까지 실행을 해야 하기 때문에 큰 수가 입력되면 시간이 초과될 수 있다. 

시간을 줄이기 위해 약수를 구할 때 제곱근을 이용해 보자. 

a * b = n (a > 1, b> 1)이라 할 때 a와 b는 n의 약수이다. 

그러므로 a와 b중 작은 수 쪽만 확인해 보아도 n이 합성수임을 알 수 있는데 작은 수의 범위는 n의 제곱근 이하이다. 

따라서 [코드2]같이 함수를 수정함으로써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. 

 

[코드2 분석] 

int sq = sqrt(n)라고 할 때, (i <= n / i)는 결과적으로 (i <= sq) 와 같다. 

코드2는 코드1에서 i < n을 i <= n / i 로 바꾼 것 뿐이지만 시간은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. 

만약 입력된 값이 1억이라면 앞의 코드에서는 반복문을 1억번 실행해야 하지만 

이 코드에서는 1만번만 실행하면 되므로 시간이 1/10000로 단축되는 것이다.

'정보올림피아드&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소수  (0) 2022.04.21
소수 구하기  (0) 2022.04.21
각 자리수의 역과 합(Number Reverse)  (0) 2022.04.21
별삼각형1부터 홀수 마방진 소스코드  (0) 2022.03.23
홀수 마방진  (0) 2022.03.23